리눅스에서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려면 먼저 마운트(Mount) 작업을 해야 합니다.
마운트란 운영체제가 저장장치를 특정 디렉토리에 연결해, 해당 장치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입니다.
윈도우에서는 드라이브 문자(C:, D:)로 자동 연결되지만, 리눅스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마운트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서버 환경에서는 신규 디스크를 연결하거나 외장 하드를 사용할 때 필수로 거쳐야 하는 절차입니다.
현재 연결된 디스크 확인
먼저 시스템에 인식된 디스크 목록을 확인합니다.
lsblk
또는
sudo fdisk -l
여기서 /dev/sda, /dev/sdb 같은 이름이 디스크 장치입니다.
새로 연결한 디스크라면 파티션이 없거나, mount 명령에 등록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습니다.
파티션 생성 (필요한 경우)
새 디스크에 파티션이 없다면 fdisk나 parted로 파티션을 생성합니다.
sudo fdisk /dev/sdb
- n : 새 파티션 생성
- w : 저장 후 종료
파일시스템 생성
파티션이 준비되면 파일시스템을 만들어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ext4를 많이 사용합니다.
sudo mkfs.ext4 /dev/sdb1
- /dev/sdb1 : 디스크명 + 파티션 번호
- mkfs.xfs, mkfs.ntfs 등 다른 파일시스템도 가능
마운트 포인트 생성
마운트할 디렉토리를 만듭니다.
이 위치가 윈도우의 드라이브 문자 역할을 합니다.
sudo mkdir /mnt/data
디스크 마운트
이제 디스크를 디렉토리에 연결합니다.
sudo mount /dev/sdb1 /mnt/data
정상적으로 연결됐다면 /mnt/data에서 파일을 저장하고 읽을 수 있습니다.
마운트 상태 확인은 다음 명령으로 가능합니다.
df -h
부팅 시 자동 마운트 설정
수동 마운트는 재부팅 시 해제되므로, /etc/fstab 파일에 등록해야 부팅 시 자동으로 연결됩니다.
- 디스크의 UUID 확인
blkid /dev/sdb1 - /etc/fstab 편집
sudo nano /etc/fstab - 아래와 같이 추가
UUID=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 /mnt/data ext4 defaults 0 0
마운트 해제
디스크를 제거하거나 마운트를 해제하려면 umount를 사용합니다.
sudo umount /mnt/data
만약 디렉토리 사용 중이라면 에러가 날 수 있으니, 사용 중인 프로세스를 먼저 종료해야 합니다.
문제 해결 팁
- "mount: wrong fs type" 오류 → 파일시스템 형식을 다시 확인하고 mkfs로 포맷
- "device is busy" 오류 → lsof +f -- /mnt/data 또는 fuser -m /mnt/data 로 사용 중인 프로세스 종료
- 자동 마운트 실패 → fstab 문법 오류 여부 확인
결론
리눅스에서 하드디스크 마운트는 신규 디스크 사용의 첫 단계입니다.
처음에는 명령어가 낯설 수 있지만, lsblk → fdisk → mkfs → mount → fstab 순서를 익히면 빠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서버 운영 시 /etc/fstab을 통한 자동 마운트는 필수이니 꼭 설정해두시길 추천드립니다.
'리눅스의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서비스 자동 시작 설정 – 부팅 시 프로그램 자동 실행하기 (2) | 2025.08.16 |
---|---|
리눅스 sudo 권한 부여 방법 – 사용자 추가부터 설정까지 완벽 가이드 (2) | 2025.08.15 |
리눅스 서비스 등록 방법 – systemd로 프로그램 자동 실행 설정하기 (2) | 2025.08.15 |
리눅스 SSH 설정 방법 – 설치부터 보안 강화까지 완벽 가이드 (2) | 2025.08.14 |
리눅스 grep 사용법 완벽 가이드 – 옵션, 예제, 실무 활용까지 (2) | 2025.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