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의 모든 것

에러 찾기? 보안 확인? 리눅스 로그 확인법 총정리

by 운따돈 2025. 8. 8.

서버가 느려졌을 때, 이상한 오류 메시지가 떴을 때, 갑자기 접속이 끊겼을 때…
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 이런 일들이 반드시 한 번쯤 생깁니다.

 

그럴 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하는 게 바로 로그(log)예요.
리눅스는 시스템의 모든 활동을 꼼꼼하게 기록해놓기 때문에,
문제 원인을 파악하거나 누군가 해킹을 시도했는지 추적할 수 있는 단서가 바로 로그에 남아 있어요.

 

하지만 로그는 어디서 어떻게 보는지 모르면 그저 ‘문자 덩어리’일 뿐이죠.
그래서 오늘은 리눅스의 핵심 로그 파일과 확인 명령어들을 하나하나 소개해드릴게요.
서버 운영자든 일반 사용자든 꼭 알아야 할 필수 내용이니, 지금부터 차근히 따라와 주세요!


📌 목차

  1. 리눅스 로그란? 기본 개념
  2. 주요 로그 파일 위치
  3. 로그 확인 명령어 정리
  4. 상황별 확인해야 할 로그 예시
  5. 로그 관리 꿀팁 (필터링, 자동 정리)

1. 리눅스 로그란?

리눅스 로그는 시스템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기록입니다.

  • 부팅 정보
  • 사용자 로그인 기록
  • 네트워크 상태
  • 디스크 오류
  • 보안 침입 시도
    등이 모두 로그 파일에 남습니다.

운영체제의 감시카메라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 돼요!


2. 주요 로그 파일 위치

리눅스의 로그는 대부분 /var/log 폴더에 저장됩니다.
여기서 자주 쓰이는 로그 파일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아요:

/var/log/syslog 또는 /var/log/messages 시스템 전반 로그 (우분투/센토스 차이 있음)
/var/log/auth.log 로그인, sudo, SSH 등 인증 관련 기록
/var/log/dmesg 하드웨어 관련 부팅 로그
/var/log/boot.log 시스템 부팅 관련 로그
/var/log/kern.log 커널 관련 메시지
/var/log/apache2/access.log 웹서버 접속 기록 (아파치 기준)
/var/log/apache2/error.log 웹서버 에러 기록
 

리눅스 배포판에 따라 syslog 대신 messages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어요.


3. 로그 확인 명령어 정리

로그는 텍스트 파일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파일 읽기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어요.

  • 로그 내용을 처음부터 모두 보고 싶다면 cat /var/log/syslog
  • 스크롤해서 확인하고 싶다면 less /var/log/auth.log
  • 마지막 몇 줄만 보고 싶다면 tail /var/log/boot.log
  • 실시간으로 추가되는 로그를 보고 싶다면 tail -f /var/log/syslog

더 정밀하게 검색하려면 grep을 활용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SSH 로그인 기록만 보고 싶다면:
grep sshd /var/log/auth.log


4. 상황별 확인해야 할 로그 예시

📍 시스템 부팅이 느리다

  • /var/log/boot.log, /var/log/dmesg 확인
  • 특정 서비스가 오래 걸리는지 체크

📍 외부에서 누가 접속했는지 확인하고 싶다

  • /var/log/auth.log에서 ‘Accepted’ 또는 ‘Failed’ 검색
  • 예: grep "Accepted" /var/log/auth.log

📍 웹사이트 오류 발생 시

  • Apache: /var/log/apache2/error.log
  • NGINX: /var/log/nginx/error.log

📍 디스크 오류, I/O 문제

  • /var/log/syslog 또는 /var/log/kern.log에서 ‘I/O’ 또는 ‘error’ 검색

5. 로그 관리 꿀팁

리눅스 로그는 자동으로 계속 누적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관리해주는 게 좋아요.

✅ 최근 로그만 보기

  • tail -n 100 /var/log/syslog : 최근 100줄만 보기

✅ 필터링

  • grep fail /var/log/auth.log : 실패한 로그인만 필터링
  • grep CRON /var/log/syslog : 크론탭 관련 로그만 보기

✅ 자동 로그 순환 (Logrotate)

리눅스는 logrotate라는 도구로 오래된 로그를 압축하거나 삭제할 수 있게 도와줘요.
설정 파일은 /etc/logrotate.conf 또는 /etc/logrotate.d/ 아래에 있어요.
주기, 용량, 백업 횟수 등을 설정할 수 있으니 서버 운영자에겐 꼭 필요한 기능입니다.


✅ 리눅스 로그는 시스템의 '블랙박스'

리눅스를 제대로 쓰려면 반드시 로그 확인 습관이 필요해요.
처음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조금씩 tail, grep, less 같은 명령어에 익숙해지다 보면
내가 서버의 모든 행동을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됩니다.

서버에 이상이 생겼을 땐, 검색하기 전에 먼저 로그를 확인해보세요.
답은 이미 시스템 안에 남아 있을지도 모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