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의 모든 것26 리눅스 시스템 모니터링 – 서버 상태 점검을 위한 명령어와 도구 총정리 리눅스 서버 운영에서 시스템 모니터링은 필수입니다.CPU, 메모리, 디스크, 네트워크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장애를 예방하고, 성능 저하 원인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특히 트래픽이 많은 웹 서버나 중요한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실시간 모니터링이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의 핵심입니다.CPU 사용량 확인top가장 대표적인 실시간 모니터링 도구입니다.명령어 입력:topP: CPU 사용률 기준 정렬1: CPU 코어별 사용량 표시mpstat (sysstat 패키지)cpu 사용량을 통계 형태로 표시합니다.sudo apt install sysstat (Ubuntu/Debian)sudo yum install sysstat (CentOS/RHEL)mpstat 1메모리 사용량 확인free메모리 전체 용량, 사용량, 캐시.. 2025. 8. 18. 리눅스 시간 동기화 방법 – NTP 설정과 서버 시간 맞추기 리눅스 서버에서 시간이 정확해야 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로그 기록,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보안 인증, 예약 작업(Cron) 등은 모두 서버 시간이 기준이 됩니다.만약 시간이 몇 분만 어긋나도 로그 분석이 어렵고, SSL 인증서 오류나 API 요청 실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정확한 시간 동기화는 서버 운영의 필수 작업입니다.현재 시간 확인리눅스에서 현재 시스템 시간을 확인하려면 다음을 입력합니다.date예시 출력:Tue Aug 13 14:25:10 KST 2024시간대(Timezone) 설정서버 시간이 정확하더라도, 잘못된 시간대를 사용하면 표기 시간이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3-1. 현재 시간대 확인timedatectl3-2. 시간대 변경sudo timedatectl set-timezone As.. 2025. 8. 18. 리눅스 DNS 설정 방법 – 네임서버 변경과 확인 가이드 1. DNS란?DNS(Domain Name System)는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주소(예: google.com)를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입니다.리눅스 서버에서도 DNS 설정이 올바르지 않으면 웹사이트 접속, 패키지 다운로드, 원격 접속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습니다.따라서 DNS 서버 주소를 수동으로 변경하거나, 네트워크 환경에 맞게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2. 현재 DNS 설정 확인리눅스에서 현재 사용 중인 DNS 서버를 확인하려면 다음 파일을 확인합니다.cat /etc/resolv.conf 예시 출력:nameserver 8.8.8.8nameserver 8.8.4.4위에서 nameserver 뒤의 값이 현재 설정된 DNS 서버 IP입니다.3. DNS 서버 변경 방법3.. 2025. 8. 17. 리눅스 파일 찾기 – find, locate, grep 활용 완벽 가이드 리눅스에서 파일 찾기의 중요성리눅스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설정 파일 위치를 잊거나, 특정 확장자의 파일만 찾아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윈도우처럼 GUI 환경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명령어로 파일을 빠르게 검색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필수입니다.대표적으로 find, locate, grep 세 가지 명령어를 많이 사용합니다.find 명령어 – 실시간 검색find는 디렉토리 트리를 탐색하며 조건에 맞는 파일을 찾는 명령어입니다.실시간 검색이라 최신 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2-1. 기본 사용법find 검색경로 -name "파일명"예)find / -name "nginx.conf"→ 루트 디렉토리부터 nginx.conf 파일을 검색.2-2. 대소문자 구분 없이 검색find /etc -iname.. 2025. 8. 17. 리눅스 포트 열기 방법 – 방화벽 설정부터 확인까지 완벽 가이드 리눅스에서 포트를 여는 이유리눅스 서버에서 특정 서비스(Nginx, Apache, MySQL, Node.js 등)를 외부에서 접속하려면 해당 서비스의 포트를 열어야 합니다.포트가 닫혀 있으면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어도 외부 접속이 차단됩니다.대표 예시80번 포트: HTTP 웹 서비스443번 포트: HTTPS 웹 서비스3306번 포트: MySQL 데이터베이스22번 포트: SSH 접속현재 포트 상태 확인먼저 해당 포트가 열려 있는지 확인합니다.sudo ss -tuln또는sudo netstat -tulnLISTEN 상태로 표시되고 외부 IP(0.0.0.0 또는 ::)에 바인딩되어 있다면 서비스는 포트를 열고 있는 상태입니다.다만 방화벽에서 차단 중이면 외부에서는 접근이 불가능합니다.방화벽 종류 .. 2025. 8. 17. 리눅스 서비스 자동 시작 설정 – 부팅 시 프로그램 자동 실행하기 서비스 파일 경로 오류원인서비스 파일의 ExecStart 경로가 잘못되면 자동 시작이 실패합니다.특히 프로그램 경로나 스크립트 위치가 변경되었는데 서비스 파일을 수정하지 않은 경우 자주 발생합니다. 해결 방법sudo nano /etc/systemd/system/서비스명.service 로 서비스 파일 열기ExecStart 절대 경로 확인 후 수정수정 후 sudo systemctl daemon-reload 실행실행 권한 부족원인서비스 실행 계정이 해당 프로그램이나 디렉토리에 접근할 권한이 없는 경우입니다. 해결 방법chmod +x 프로그램파일 로 실행 권한 부여chown 사용자:그룹 디렉토리 로 소유자 변경서비스 파일의 User 항목을 적절한 계정으로 지정의존 서비스 미실행원인네트워크나 데이터베이스처럼 해당.. 2025. 8. 16.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