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를 설치한 후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할 것이 바로 네트워크 설정입니다.
특히 서버 운영을 하거나 가상머신을 사용할 경우,
IP 주소가 제대로 잡히지 않으면 패키지 설치도, 원격 접속도 모두 불가능하죠.
저도 처음엔 인터넷이 안 되길래 "이거 뭐가 문제지?" 하며 헤맸는데,
알고 보니 IP가 자동으로 할당되지 않았거나, DNS가 빠져있던 경우가 많았어요.
오늘은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IP 주소 확인, 수동 설정, DNS 설정, 연결 테스트 방법까지
리눅스에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을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 목차
- 현재 IP 주소 확인 방법
- 네트워크 재시작 및 인터페이스 확인
- 고정 IP 설정 방법 (우분투 & CentOS)
- DNS 서버 설정하기
-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명령어
1. 현재 IP 주소 확인 방법
리눅스에서는 IP 주소를 확인하려면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 ip addr show
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 주소가 표시됩니다.
‘inet’ 항목에 나오는 주소가 현재 IP입니다.
예를 들어 inet 192.168.0.25/24 같은 형태로 출력됩니다. - hostname -I
이 명령은 시스템이 인식하고 있는 IP 주소만 간단하게 보여줘요. - nmcli device show
NetworkManager 기반 배포판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로, IP와 게이트웨이, DNS 등을 모두 확인할 수 있어요.
2. 네트워크 재시작 및 인터페이스 확인
설정 변경 후에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재시작해야 적용됩니다.
- 우분투에서 네트워크 재시작
"sudo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 라고 입력하세요.
또는 "sudo netplan apply" 명령으로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우분투 18.04 이상). - CentOS에서는 다음 명령어 사용
"sudo systemctl restart network" - 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확인
"ip link show" 또는 "nmcli device status" 명령으로 어떤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eth0, ens33, enp0s3 등이 유선 랜 이름으로 표시돼요.
3. 고정 IP 설정 방법
네트워크를 수동으로 설정해야 할 상황이라면 고정 IP(static IP) 설정이 필요해요.
배포판에 따라 설정 방식이 다르니, 아래에서 두 가지로 나눠 설명드릴게요.
✅ 우분투 (Netplan 기반 – 18.04 이상)
설정 파일은 /etc/netplan/ 폴더 아래에 있는 .yaml 파일이에요.
예를 들어 00-installer-config.yaml 파일을 열어서 다음처럼 수정합니다.
network:
version: 2
renderer: networkd
ethernets:
ens33:
dhcp4: no
addresses: [192.168.0.100/24]
gateway4: 192.168.0.1
nameservers:
addresses: [8.8.8.8, 1.1.1.1]
✅ CentOS 7 이상 (nmcli 또는 ifcfg 파일 수정)
1-nmcli 명령어로 설정
nmcli con mod ens33 ipv4.gateway 192.168.0.1
nmcli con mod ens33 ipv4.dns "8.8.8.8 1.1.1.1"
nmcli con mod ens33 ipv4.method manual
nmcli con up ens33
파일을 열고 다음처럼 수정합니다:
ONBOOT=yes
IPADDR=192.168.0.100
NETMASK=255.255.255.0
GATEWAY=192.168.0.1
DNS1=8.8.8.8
DNS2=1.1.1.1
수정 후 "systemctl restart network" 명령으로 재시작합니다.
4. DNS 서버 설정하기
DNS는 ‘도메인 → IP 주소’로 변환하는 필수 설정입니다.
DNS 설정이 없으면 인터넷 연결은 되어도 도메인 접속이 되지 않아요.
✅ 우분투 기준 설정 방법
/etc/resolv.conf 파일을 열고 다음 줄을 추가합니다:
nameserver 1.1.1.1
단, 이 파일은 자동으로 덮어써질 수 있으므로,
영구적으로 설정하려면 netplan 또는 systemd-resolved에서 DNS 설정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5.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명령어
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할 때 아래 명령어들을 사용합니다.
- "ping 8.8.8.8" : 구글 DNS로 핑 테스트. 인터넷 연결 여부 확인
- "ping google.com" : 도메인 핑 테스트. DNS가 작동하는지 확인
- "traceroute google.com" : 중간 경로 확인
- "curl -I https://naver.com" : HTTP 헤더 응답 확인
- "ip route" : 현재 라우팅 테이블 확인 (게이트웨이 설정 등)
✅ 네트워크 설정은 리눅스의 기본 생명줄
리눅스에서 인터넷이 안 되면 아무 것도 할 수 없어요.
업데이트도, 패키지 설치도, 원격 접속도 막히게 되니까요.
그래서 네트워크 설정은 서버 구축의 가장 첫 번째이자,
가장 중요하게 점검해야 할 부분입니다.
IP 확인 → 연결 확인 → 고정 설정 → DNS 설정
이 흐름만 익혀두면 대부분의 네트워크 문제는 스스로 해결할 수 있게 됩니다.
오늘 내용만 잘 정리해두면,
가상머신부터 클라우드 서버까지 어디서든 네트워크 설정 걱정은 끝입니다 😊
'리눅스의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에서 Docker 설치하는 법 – 초보자도 10분 만에 완성 (1) | 2025.08.10 |
---|---|
이것만 해도 서버 해킹 80%는 막습니다 – 리눅스 방화벽 기초 설정법 (3) | 2025.08.10 |
5분 만에 웹페이지 띄우기! 리눅스 웹서버 설치 기초 완전 정리 (3) | 2025.08.09 |
리눅스 사용자 추가하는 법 – 계정 생성부터 권한 설정까지 완벽 정리 (3) | 2025.08.09 |
리눅스 쉘스크립트 예제 모음 – 실무에 바로 쓰는 7가지 스크립트 (2) | 2025.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