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의 모든 것

5분 만에 웹페이지 띄우기! 리눅스 웹서버 설치 기초 완전 정리

by 운따돈 2025. 8. 9.

"개발자처럼 웹페이지를 리눅스에서 띄워보고 싶다!"
"정적 홈페이지라도 직접 만들어보고 싶다!"
"포트만 열었을 뿐인데 왜 접속이 안 되지?"

 

리눅스를 쓰다 보면 한 번쯤 웹서버 설치를 시도하게 됩니다.
저도 처음에는 무작정 설치했지만, 어떤 포트를 열고 어디에 HTML을 넣어야 할지 몰라서 고생했어요.

 

그래서 오늘은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쓰는 웹서버인 Apache와 NGINX를 기준으로,
누구나 따라할 수 있는 설치, 실행, 확인, 설정 방법을 하나하나 정리해드릴게요.


📌 목차

  1. 웹서버란? Apache vs NGINX
  2. Apache 웹서버 설치 및 실행
  3. NGINX 웹서버 설치 및 실행
  4. 기본 HTML 페이지 띄우기
  5. 포트 확인 및 외부 접속 허용 방법

1. 웹서버란? Apache vs NGINX

웹서버는 브라우저에서 주소를 입력했을 때
해당 웹페이지의 내용을 반환해주는 역할을 해요.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웹서버는 아래 두 가지입니다.

  • Apache (아파치)
    오래되고 안정적이며, 설정 파일이 직관적입니다.
    .htaccess, PHP 연동 등 초보자에게 친숙해요.
  • NGINX (엔진엑스)
    최근 빠른 처리속도로 인기 상승 중.
    정적 페이지 처리 속도가 빠르고, 리버스 프록시로 많이 쓰여요.

2. Apache 웹서버 설치 및 실행 (우분투 기준)

  1. 패키지 업데이트 먼저 진행
    "sudo apt update" 라고 입력합니다.
  2. Apache 설치
    "sudo apt install apache2" 라고 입력해 설치합니다.
  3. 서비스 실행 및 부팅 시 자동 시작 설정
    "sudo systemctl start apache2"
    "sudo systemctl enable apache2"
  4. 상태 확인
    "sudo systemctl status apache2" 를 입력하면 현재 실행 중인지 확인할 수 있어요.
  5. 웹서버 동작 확인
    브라우저에서 서버의 IP 주소를 입력해보세요.
    “Apache2 Ubuntu Default Page”가 보이면 성공입니다.

3. NGINX 웹서버 설치 및 실행

  1. 패키지 업데이트
    "sudo apt update"
  2. NGINX 설치
    "sudo apt install nginx"
  3. 실행 및 부팅 시 자동 시작
    "sudo systemctl start nginx"
    "sudo systemctl enable nginx"
  4. 확인
    "sudo systemctl status nginx"
  5. 테스트
    브라우저에서 서버 IP를 입력하면 “Welcome to nginx!” 라는 화면이 뜹니다.

4. 기본 HTML 페이지 띄우기

웹서버를 설치하면 기본 웹페이지가 /var/www/html 폴더에 저장됩니다.
이곳에 있는 index.html 파일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HTML 파일을 넣으면
자신만의 웹사이트를 띄울 수 있어요.

 

예를 들어 “hello.html”이라는 파일을 만들고 싶다면:

  1. 먼저 파일을 하나 만듭니다.
    "sudo nano /var/www/html/hello.html" 로 편집기 열기
  2. 아래와 같은 HTML 코드 입력
<!DOCTYPE html>
<html>
  <head>
    <title>내 첫 웹페이지</title>
  </head>
  <body>
    <h1>리눅스 웹서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h1>
  </body>
</html>
 
저장 후 브라우저에서 서버IP/hello.html 입력해보면

방금 만든 웹페이지가 보이게 됩니다!


5. 포트 확인 및 외부 접속 허용 방법

웹서버는 기본적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서버 외부에서 접속하려면 방화벽이 이 포트를 허용해야 해요.

✅ UFW 방화벽 사용 시

  1. "sudo ufw allow 'Apache Full'" 또는 "sudo ufw allow 80" 입력
  2. "sudo ufw enable" 로 방화벽 활성화
  3. "sudo ufw status" 로 현재 허용된 포트 확인

✅ 포트 열려 있는지 확인

  • "sudo netstat -tuln" 으로 열려 있는 포트 확인
  • 또는 "ss -tuln" 명령도 가능

✅ 클라우드 서버라면?

AWS, Oracle Cloud, Naver Cloud 등에서는 서버 설정 외에도
보안 그룹(Security Group) 에서 80 포트를 인바운드로 허용해야 외부 접속이 가능해요.


✅ 결론 – 웹서버 설치, 의외로 쉽다!

처음엔 막막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Apache든 NGINX든 설치 자체는 3~4줄 명령어면 끝나요.

 

중요한 건

  • 서버 실행 상태 확인
  • 웹 루트 디렉토리 위치 파악
  • 포트가 열려 있는지 점검

이 세 가지만 확실히 익혀두면
자신만의 웹페이지나 내부용 도구 페이지도 직접 운영할 수 있게 됩니다.

이제 여러분도 ‘리눅스에 웹서버 설치해봤어요’라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어요 😊
작은 HTML 파일 하나부터 시작해보세요. 그게 실전의 시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