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를 혼자 쓸 때는 별문제 없지만,
여러 명이 함께 서버를 사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사용자 계정 관리’를 해야 해요.
회사 서버, 교육 환경, 웹호스팅 등에서는 사용자마다 별도 계정과 권한이 필요하니까요.
특히 루트 계정(root) 하나로 모든 작업을 처리하는 건 보안상 아주 위험한 방법이에요.
그래서 오늘은 리눅스에서 새 사용자를 만드는 가장 안전하고 실용적인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단순한 계정 생성부터, 홈 디렉토리, 비밀번호 설정, sudo 권한 부여까지 한 번에 정리해볼게요.
📌 목차
- 리눅스 사용자 추가 명령어 종류
- adduser로 계정 만드는 쉬운 방법
- useradd로 만드는 고급 사용자 설정
- 비밀번호 설정 및 홈 디렉토리 확인
- 관리자 권한(sudo) 부여 방법
1. 리눅스 사용자 추가 명령어 종류
리눅스에는 사용자를 추가할 수 있는 두 가지 대표 명령어가 있어요:
- adduser: 초보자에게 적합한 간편한 계정 생성 명령어
- useradd: 옵션이 많아 설정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명령어
우분투 기준으로는 adduser를 주로 사용하며,
CentOS 같은 시스템에서는 useradd가 기본으로 쓰입니다.
2. adduser로 계정 만드는 쉬운 방법
가장 기본적인 사용자 생성법은 다음과 같이 진행돼요.
먼저, 터미널에서 새 사용자의 이름을 지정해서 입력해줍니다.
예를 들어 ‘jinho’라는 사용자를 만들고 싶다면:
"adduser jinho" 라고 입력합니다.
그럼 시스템이 자동으로 홈 디렉토리도 만들고, 비밀번호도 설정하라고 안내해줘요.
비밀번호는 두 번 입력해야 하고, 나중에 사용자 이름, 전화번호 등 몇 가지 정보를 입력하는데
필수는 아니기 때문에 그냥 Enter로 넘겨도 됩니다.
계정 생성이 완료되면 /home/jinho 폴더가 생기고, 그 안에 기본 파일들이 자동으로 채워집니다.
3. useradd로 만드는 고급 사용자 설정
useradd는 조금 더 복잡하지만, 다양한 옵션을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홈 디렉토리까지 포함해서 ‘dahye’라는 사용자를 만들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 먼저 "useradd -m dahye"라고 입력합니다.
여기서 -m 옵션은 홈 디렉토리를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기능입니다. - 다음으로 "passwd dahye"를 입력하면 비밀번호 설정 과정이 시작돼요.
비밀번호를 두 번 입력하면 계정 생성이 완료됩니다.
만약 사용자의 쉘을 /bin/bash가 아닌 다른 쉘로 설정하고 싶다면,
뒤에 -s /bin/zsh 같은 옵션을 붙여서 만들 수 있어요.
예시: "useradd -m -s /bin/zsh dahye"
4. 비밀번호 설정 및 홈 디렉토리 확인
사용자를 만들고 나면, 반드시 비밀번호 설정을 따로 해줘야 로그인할 수 있어요.
방식은 간단합니다. "passwd 계정이름"을 입력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sungwoo’의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싶다면:
"passwd sungwoo" 라고 입력하고, 원하는 비밀번호를 두 번 입력하면 끝이에요.
홈 디렉토리는 /home/사용자이름 형식으로 생성되며,
그 디렉토리에 들어가보면 .bashrc, .profile, .bash_logout 같은 숨김 설정파일들이 자동으로 포함돼 있어요.
5. 관리자 권한(sudo) 부여 방법
새로 만든 사용자에게 sudo 권한, 즉 관리자 권한을 주고 싶다면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 먼저 "usermod -aG sudo 사용자이름" 형식으로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hani’에게 관리자 권한을 주고 싶다면:
"usermod -aG sudo hani"
- 이 명령어는 'hani' 계정을 sudo 그룹에 추가한다는 뜻입니다.
이후 hani 사용자는 sudo 명령어를 붙이면 루트 권한으로 작업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sudo apt update" 같은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죠.
정상적으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려면 "groups 사용자이름"을 입력해보면 됩니다.
그룹 목록에 sudo가 보이면 설정 완료입니다.
✅ 사용자 추가는 보안과 효율의 시작입니다
리눅스에서 사용자를 나눠 쓰는 건 단순한 기능이 아니라
보안·관리·권한 분리의 가장 기본적인 시작이에요.
루트 계정 하나로 모든 작업을 하는 건,
자동차 문을 열어놓고 주차한 것만큼이나 위험할 수 있어요.
계정별로 권한을 정리해두면
- 시스템에 누가 들어왔는지 확인 가능
- 실수로 시스템 전체를 망가뜨릴 일도 줄어듦
- 책임소재도 명확해짐
이제 실습해보세요!
adduser, passwd, usermod 세 가지만 기억하면
리눅스 사용자 추가는 더 이상 어렵지 않답니다 😊
'리눅스의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이 글 하나면 끝! (IP 확인부터 고정까지) (1) | 2025.08.10 |
---|---|
5분 만에 웹페이지 띄우기! 리눅스 웹서버 설치 기초 완전 정리 (3) | 2025.08.09 |
리눅스 쉘스크립트 예제 모음 – 실무에 바로 쓰는 7가지 스크립트 (2) | 2025.08.09 |
리눅스 파일 권한 변경하는 법 – 읽기/쓰기/실행권한 쉽게 정리 (2) | 2025.08.08 |
에러 찾기? 보안 확인? 리눅스 로그 확인법 총정리 (3) | 2025.08.08 |